3월 빈고총회 때, 빈마을에 거주하는 장기투숙객들을 중심으로 해방촌에서 무언가 재미난 일을 만들어가보자는 취지 아래 장기투숙객들에게서 월 1만원씩 걷기로 결의하였습니다. 그것이 공표와 공감대 형성(시행) 등^^ 여러 사정으로 인해, 7월부터 걷기 시작했습니다.
현재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동안 걷혀진 상태의 총 금액은 790,000원입니다. (10월 미집계)
(7월 270,000원 / 8월 230,000원 / 9월 290,000원)
아직, 이렇다 할 마을활동비 심의, 집행기구가 없는 탓에 현재 빈고에서 집행을 하고 있고, 심의는 암묵적 협의와 나름의 공감대 형성을 통해 진행하고 있습니다.
마을활동비가 걷힌 이래, 마을활동비의 사용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. (총 251,300원 지출)
- 빈가게의 국수데이, ‘해방촌에서 어울려 살아요’ 84,000원 : https://binzib.bingobank.org/xe/?document_srl=63379
- 빈마을 겨울김장 대비 배추 심기. 팔당 80,000원 / 빈농(화전) 35,000원 : https://binzib.bingobank.org/xe/?document_srl=66846 https://binzib.bingobank.org/xe/?document_srl=79557
- 얼마전 다시 재개한 닷닷닷 32,300원 : https://binzib.bingobank.org/xe/?document_srl=91774
현재, 마을활동비를 (가칭) 열린집사회의에서 심의, 집행을 맡아서 하는 건을 논의 중이며, 열린집사회의의 구성을 ‘각 집의 집사들과 빈고 담당자, 그리고 빈가게 담당자 외 빈마을에 거주하는 누구나’로 구성하는 안을 구상 중에 있습니다.
논의를 더 확장하여 기존의 마을 사업들도 빈고가 아닌 (가칭) 열린집사회의에서 받아서 진행 집행하는 건에 대한 논의도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
기존의 마을사업은
- 웹호스팅비
- 집사회의 회의비
- 고양이 양육비
- 마을잔치비
등이 있으며, 빈고 비서진 임금과 빈고 운영회의비는 기존대로 빈고에서 집행하는 것이 맞을 것 같습니다.
배경 설명이 길었습니다. 마을활동비는 앞서 말했듯이, 해방촌에서 함께 살아가는 빈마을의 장단기투숙객들이 무언가 즐거운 일을 벌이고 하기 위해 걷는 돈 입니다. 시간적 여유가 되지 않거나 함께 무언가를 하는 것에 대한 마음이 열리지 않는 분들도 분명 있을테지만, 함께 살기 위해 빈마을에 왔다면 함께 살아가기 위해 무엇을 하면 좋을지를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참여하는 것이 좀 더 빈마을의 지향점에 가까운 듯 합니다. (저도 잘하지 못하는 부분입니다. ;;)
암튼 가이드!!
- 빈마을 전체의 사람들이 참여 가능하고, 함께 무언가를 할 수 있는 활동.
- 어느 집이 주축이 될 수 있으나, 다른 집들과의 교류도 활발히 할 수 있는 활동.
- 해방촌 지역주민들과의 관계를 고민하는 활동.
- 제안서를 제출하고, 빈마을 사람들의 (암묵적) 동의와 공감대를 형성하는 활동.
가이드를 적어두고 보니, 뭔가 어설프다는 생각이 듭니다. 구성될 (가칭) 열린집사회의에서 잘 다듬어주겠거니 하는 마음으로 부담을 덜어놓습니다. ^^
댓글을 남길 수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