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150210 22차 활동가회의 안건지 공개본.odt104.8K
2015.02.10 22차 활동가회의록
참가 : 정민(해방촌), 파스(살림집), 곰자(미소속), 오디(구름집), 좌인(살림집), 한돌(구름집), 그링(모두들), 나마스떼(사랑채), 라일락(비행), 부깽(연구소), 아리데, 땡땡, 자유(넓은집)
불참 : 켄짱(까페해방촌), 종민(공룡), 시오(잘자리),
- 
지난회의록 검토 - 
이번회의록이 22차 지난 회의록은 21차 
 
- 
- 
공유안건 - 
재정 공유 - 
1월 재정결산 보고 
 
- 
- 
활동 공유 - 
리플렛 제작/홈페이지 기획 추진중 
- 
빈고의 활동범위를 넓히기 위한 고민중. 01/31에는 아나키 모임에 참석해 빈고가 할 수 있는 일 고민 
 
- 
- 
공동체소식 공유 - 
빈집: 마실집 정리. 장단투가 전체적으로 없어서 집 하나를 정리할까 논의중. 정확하게 정리할 수는 없지만 빈집스러움이 줄어들어 사람들도 줄어드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도. 각종 사고가 겹쳤던 2014년이 지나가고 있습니다. 2월 21일에 빈집 생일잔치가 빈가게에서 있어요. 
- 
부천 모두들: 집 다섯 개. 올해가 전환기가 될 수도. 각 집의 독립적인 부분을 많이 인정해왔는데, 그러다보니 각 집이 차이가 커져서 공동의 것을 묶어내려는 고민을. 그러다가 공동체스러운 게 답답해져서 나가는 사람이 생길지도 모른다는 생각도. 어제 반상회에서 그런 이야기들을 많이 했어요. 이런 힘든 집인줄 몰랐다고 이야기하는 사람도 있더라고. 우리 문화를 어떻게 정립해나갈지 고민하는 게 올해의 고민. 
- 
태국: 곰자가 여행을 다녀왔음. 사유재산이 없이 사는 종교공동체에 다녀왔음. 나는 그렇게 밥만 먹고 못 살 것 같다고 고민을 토로했더니 지음이 넌 배가 부르다고… (나중에 여행기 꼭 발표하세요) 
- 
인천 비행: 원래 세 사람이 살았는데, 한 사람이 2주만에 나감. 공간을 탈가정청소년들과 함께 생활하는 곳으로 가려하는데, 남은 두 사람만으로 운영하기에는 장기적으로 불안정하다는 생각. 좀더 시간을 가지며 다른 탈가정 청소년 지원단체들과 공조해나가려고 함. (좌인: 최근 빈집도 위기를 겪었는데, 빈고가 함께하는 공동체들에 단순히 돈을 빌려주는 곳이 아니라 같이 고민하면서 나가고 싶어 이번에 비행에 방문도 하면서 함께하려하고 있음.) 
- 
연구소: 연구소는 점조직이에요. 구성원들끼리 서로 잘 모름. 그런데 출자 소식을 보면 다들 개별적으로 출자를 하는 걸 보면, 다들 살아는 있구나 확인하는 정도. 
 
- 
- 
출자활동 - 
출자선물카드 - 
2014 총 출자선물 금액 520만원(긍정적인 사업결과) 
 
- 
 
- 
- 
이용활동 - 
추가이용건 
- 
ㅇ 신청 - 
신청금액 총 300만원 
- 
현재 70만원 이용중이고 2월 16일까지 상환할 계획(병원비용이었음) 
- 
공동체 안에서 열심히 관계맺는 활동을 해왔음 
- 
이용 목적은 채무탈출(리볼빙이 계속되는 카드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해) 
- 
충분한 논의를 위해 긴 기간을 두고 미리 신청함 
- 
나머지는 이용계획서 참고(이용활동계획서_ㅇ_150209) 
- 
판단을 위해 이용기준 점검안(첨부3) 첨부 
- 
쟁점 1: 개인 소비 지출 습관이 문제가 될 수 있음. 
- 
쟁점 2: 공동체 회원 이용 비율이 점점 늘어남 
 
- 
 
- 
- 
연대활동 - 
공유완료 
 
- 
- 
운영활동 - 
뉴스레터 담당자 교체필요. 
- 
총회준비 - 
총회준비 회의에서 계획이 정해질 예정, 시간 되는 분들은 참석을. 
- 
이번주 토요일 총회설명회 
- 
총회프로그램 - 
포스터 공유 예정 
- 
OX퀴즈, 사진으로 보는 빈고 활동 
 
- 
- 
논의안건 - 
대손상각 - 
디테일한 기준이 필요 
- 
어떤이용을 대상으로 한것인지 조합원들에게 내용공유가 필요. 
 
- 
- 
잉여금처분안 - 
활동가기금 증가 필요 (5안) 
- 
각 안에 대한 빈고 입장과 조합원 입장 설명 필요. 
- 
올 전체 사업의 방향을 잡는 게 먼저. 
- 
사업계획이 잡히면 수정. 
- 
대손충담금 포함 
 
- 
- 
조직구성안 - 
지구분담금, 공동체 기금등의 사업안을 각 공동체 회의때 논의하면 좋을 듯 
- 
2013 : 각 공동체를 금고를 보고 활동가 선정 
- 
2014 : 대표3인이 일을 분담 
- 
2015 : 빈마을 금고에서 벗어나 전국 공동체들의 금고로.. 각 공동체에서 활동가들의 양성방법/빈고교육 방법이 중요. 
- 
반상근과 비상근의 의결권을 줄이고 공동체 활동가들의 의결권을 평등하게 분배 
- 
몇몇 사람들만 승인을 하고 승인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? 만장일치는? – 의결권에 대한 협의나 합의 후 진행해야함. – 활동가들 선택지 증가 : 승인/거부/보류 
- 
집행을 투명하게 근거를 명확히. 
- 
결정을 짓기 전에 활동가들끼리 논의의 장이 필요. 
- 
돈이 필요한 시점(이용계획서 포함).까지 논의. 
- 
공동체 활동가 조정 (지역별 대표 선정), 개인조합원들의 의결권 (반상근/비상근) 
- 
의결권 : 대표자(간접투표)/일인일표(직접투표) 
 
- 
 
- 
 
- 
- 
차후 논의안건 - 
2015 사업계획 
- 
예산안 
 
- 
 
- 
- 
활동계획 
 
- 
댓글 1개
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