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시:20190105 19:00
장소:골목쟁이네
참석:오디 사 우더 준 수수 알토 인정
모임 계획
4월 : 정관이 무엇인가 + 다른 조직의 정관/회칙을 보고 참고
5월 : 빈고 취지문/선언문 공부 + 빈고 활동가 초청?
6월 : 빈고 총회 기록들을 흩으면서 결정사항들 공부 및 정리
7월 : 반폭력/평등문화 내규 이야기 + 전체적으로 공부했던 것에 부족한 것 추가. (피드백을 위한 시간?)
— 공부모임 끝 —
(조합원들에게 정관의 방향성 등에 관한 설문조사 하기)
8월 : 정관 뼈대 만들기, 조합원들에게 방향성에 관한 설문조사 언제할지 정하기. 설문조사내용은?
9월 : 설문조사 피드백, 정관 뼈대 점검 및 일부(1장) 작성.
10월 1회차 : 정관의 일부인 2장 작성.
10월 2회차 : 3장 (골목쟁이네)
11월 1회차 : 4장, 5장 (은평빈집)
11월 2회차 : 6장, 7장, 8장, 9장 (들)
–— 정관초안 1차 마무리 —
11월 3회차 : 상임활동가와 검토 (레드북스)
12월 1회차 : 빈정의 미래 (평집)
12월 2회차 : 반폭력 규약 (평집)
1월 1회차 : 반폭력 규약(안) (골목쟁이네)
1월 2회차 : 전체회의 준비 (평집)
1월 26일 : 빈고전체회의 (꿀잠)
안건
1. 반폭력규약
-
준비한 파일의 개요를 참고하여 문서를 만들자.
-
빈고는 공동체가 모여있는 상위단위라기 보다는 공동체들을 연결하는 선같은 거라고 생각한다. 그런 전제로 규약을 어떻게 만들면 좋을지 이야기하자.
-
빈고의 공동체와 빈고의 조합원이 소속된 공동체를 나눠서 이야기해야할 듯 하다.
-
상시 의원회의 교육회를 따로 둘것인가?
-
상시적으로 뭔가를 둔다는건 빈고에게 엄청 강제하는 일인데 그걸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다.
-
규약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누군가 신경써야한다. 우리부터 나서서 하면 되지 않을까?
-
하는 일을 너무 늘리며 안됨. 일년에 한번 교육과 핫메일을 운영하는것을 기본으로.
-
각자 열심히 규약 수정하기.
-
2. 다음모임
-
1월 9일 7시 밥 (회의는 7시) – 평집 (전체회의 준비 – 정관을 규칙/설명글로 만드는 건)
-
3. 공유내용
-
오늘은 반폭력 규약을 처음 적어보았습니다. 초안 전단계까지 간거 같습니다. 폭력과 차별 혐오에 반대하면서 평등한 공동체를 지양하기 위해서 반폭력 규약은 꼭 필요하다고 빈정 모임은 생각합니다. 반폭력규약은 단순히 폭력으로 정의된 행위를 하면 안된다는것에서 나아가 폭력과 위계에 대해 공동체의 문제의식과 성찰을 하기위한 일환입니다. 열심히 고민해서 더 나은 반폭력 규약을 만들겠습니다. 관심있는 모든 분들의 참여 바랍니다.
댓글
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