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주 일요일에 있었던 총회준비위원회 회의 5차 회의 내용 공유합니다.
다음모임은 12일 수요일 7시반입니다.
장소는 레드북스입니다만,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니, 오시는 분들은 빈고폰으로 전화주세요.
지난 모임에서는 총회 토론회 기획, 학습연구모임 기획, 조합원모임 기획 등에 대한 얘기를 나눴습니다.
——————
20200202 총회준비위원회 5차 회의
일시 : 20200202 일요일 오후 1:00
장소 : 레드북스
참가자 : 살구, 염, 지음, 숲이아, 담묵, 서원
- 
지난회의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활동가대회 https://bingobank.org/?p=1367/
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1차회의 https://bingobank.org/?p=1372
                2차회의 https://bingobank.org/?p=1374
                3차회의 https://bingobank.org/?p=1375
                4차회의 https://bingobank.org/?p=1377 
- 
안건
- 
총회 준비 진행 상황 공유 
- 
자료집 작성중 
- 
활동계획 
- 
공동체활동이용내역 정리 
- 
학습/연구모임 기획 
- 
조합원모임 기획 
- 
공동체들의 공동체를 위한 기획 
- 
설문지 확정 
- 
이월계획 
- 
빈고폰 
- 
빈고서류 등 
- 
조합원 요청사항 
- 
기타 안건 
- 
차입금 반환 건 
- 
조합원 이용요청 건(넥스트젠) 
- 
차기회의 
- 
총회 준비 진행 상황 공유
- 
장소 확정 : 경의선공유지 기린캐슬 / 곰팡이 문제 있다고 함 
- 
답사 필요, 다음 회의 전에 공간 방문 
- 
먹을거리 : 간식, 저녁, 뒷풀이 – 김밥? 
- 
총회 공지 : 발송완료 
- 
설문지발송 
- 
공동체연락 
- 
조합원연락 
- 
감사진행 (크트, 지각생, 졔졔) 
- 
총회선물? 
- 
총회 기획 
- 
2시 시작, 총 3시간(뒷풀이 제외) 적당하지 않을까 
- 
총회 사회 : 
- 
결산보고 : 지음? 
- 
사업계획 보고 : 
- 
접수, 뒷풀이 준비 등 : 
- 
서기 : 
- 
토론, 설문결과 공유 : 크트? 
- 
순서 
- 
2:00~2:30 공동체 소개 
- 
2:30~3:00 19년 사업 보고 
- 
3:00~4:00 설문조사 결과 공유 및 모듬 토론 
- 
4:00~5:00 20년 사업 계획 
- 
5시 이후 뒷풀이 
- 
토론회기획 
- 
19년 평가 내용 정리하여 토론 주제 2~3개로 추려보자 
- 
토론시간이 짧은 편이라 질문/주제가 구체적이어야 
- 
토론 자료 준비, 배포 (평가 자료) 
- 
조별 진행자 배치 필요 
- 
조별 7~8명 정도 
- 
총회 자료집 작성중
- 
활동계획논의
- 
공동체활동이용내역 정리 
- 
학습/연구모임 기획 
- 
국제금융 
- 
국제연대 
- 
강연회 기획? 
- 
매달 포럼 + 생산물 
- 
1박2일 책읽기? 
- 
장소 : 레드북스 + 
- 
참가자 : 우중산책, 지음, 담묵, 부깽? 
- 
결과물을 만들자 : 책자? 영상? 뉴스레터? 
- 
목적 : 빈고 전략 연구? 공동체들의 공동체? 조사 작업? 
- 
빈연구소로 독립적 운영? 
- 
담묵 연구 기획 초안 발표 
- 
서원 : 빈고의 재정 여건만으로 실행하기 어려운 제안이지만, 연구자 조직을 구성해서 외부의 연구 프로젝트와 결합하는 방안이 가능할 수도 있다. 
- 
염 : 담묵이 제안한 과업을 진행하기 위한 사전 논의와 연구, 그리고 합의의 장이 충분한 시간을 두고 마련되어야 한다. 
- 
살구 : 현실적으로 빈고 책 읽기를 통해 저자를 초대해서 강연을 기획을 해보는 건 어떨까 
- 
지음 : 국제 연대까지는 가능하기 하지만, 국제 연구자들을 초대하는 자리를 마련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아직 묘연하다. 
- 
염 : 난민 단체와 적극적으로 연대하는 방법은 좋다. 일은 많겠지만, 해볼만하다. 
- 
살구 : 담묵의 물리적 시간과 마음을 쓸 수 있는 여력이 어떤지 궁금하다. 
- 
지음 : 연구모임을 장기적으로 이끌고 갈 구체적 사람과 동력이 필요하다. 만약 한 달에 한 번 모여서 공부/토론/발표를 한다면 가능할 수도 있겠지만 학자적 영역까지 도달하긴 어려울 것 같다. 보다 편한 수준?에서 진행해보면 어떨까. 주제와 타이틀을 잡아봐야 누가 모일지 알 수 있을 것 같다. 장기적으로 빈고와 별도로 운영될 수 있는 연구조직이면 좋겠다. ‘연구소’라는 이름으로 일단 시작하고, 빈고가 초기에 지원하는 형태로 운영해보면 어떨까. 
- 
레드-빈 연구소.. 
- 
지음 : 지역에서도 올라와서 레드북스에서 1박 2일 책읽기를 해보면 좋을 것 같다. 결과물과 목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얘기해보자. 연구 기획 초안을 바탕으로 사업계획을 압축적으로 만들어보았으면. 
- 
살구 : 사업 계획이기 때문에 얼마나 자주 모여서 공부할지, 강연은 몇 회 할지, 예산은 얼마나 투입할지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다. 
- 
지음 : 결과물은.. 영상으로 만들어보면.. 꼬뮨 뉴스..? 
- 
숲이아 : 계속 영상에 대한 포부가 있으시네요.. 
- 
지음 : 이미 완성된 꼬뮨에서 그 설정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어떨까.. 
- 
염 : 너무 기술적으로 빡센거 아닌가. 교육과 정보 측면에서 집중해서 제작해보는 게 좋지 않을까 
- 
서원 : 홍성 키키가 이런 작당을 배양하기 딱 좋은 환경이다. 키키에서 꽁양꽁양 해보세요.. 
- 
살구 : 꽁양꽁양까진 가능한데, 생산이 안돼..! 
- 
숲이아 : 영상 워크숍이 필요하겠네요 
- 
담묵 : 이런 기획을 진행하기 전에 다른 공동체와 접촉하고 협의해보면 어떨까 
- 
조합원모임 기획 
- 
격월 
- 
장소 : 레드북스. 청주. 
- 
준비팀 : ? ( 숲이아. ?. ?..) 
- 
교육, 워크샵, 놀이, 수다, 여행? 
- 
교육 : 신입조합원교육/ 기존 조합원 재교육 
- 
친목, 교류를 위한 기획 
- 
지역탐방 및 지역 해당 공동체의 활동고민 나누기 
- 
4월 : 레드북스, 신입조합원교육 
- 
6월 : 레드북스/강릉/(신규공동체?), 
- 
8월 : 공룡, 
- 
10월 : 키키, 
- 
12월 : 레드북스, 
- 
초안은 숲이아와 살구가 잡아보기로 
- 
빈고 조합원 중심 사업으로 
- 
모임장소가 지역일때와 수도권일때 차이? 
- 
빈고 소개와 기본 교육 외의 프로그램 
- 
개별 공동체가 지역에서 활동하면서 생긴 고민,해결할 과제 – 빈고와 함께할 부분이 있다면. 
- 
재정 
- 
장부 업그레이드 
- 
홈페이지 연결 업그레이드 
- 
출자활동지수 도입 
- 
이용활동상담 : 서원 지원. 
- 
공동체 재무 컨설팅 
- 
조합 출자금 확인 서비스? mycoop 
- 
내가 가입한 협동조합의 출자금을 하나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통합 조회 시스템 
- 
(와, 좋아보여!) 
- 
각 조합이 장부를 잘 정리하고 있어야 하고, 긴밀한 협조가 필요하다. 
- 
건강계 
- 
줄곧 빈고 사업처럼?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, 빈고의 주력 사업으로 추진해보면 어떨까 
- 
홈페이지 
- 
연대활동 
- 
지구분담금 : 
- 
공동체기금 : 
- 
펭귄조약 : 
- 
기타 제안들 
- 
공동체들의 공동체를 위한 기획 : 영길? 
- 
모임마다 같이 읽기? – 주기도문? 
- 
교육, 놀이 : 염 
- 
사무실, 상담 : 숲이아 
- 
아카이빙, 축적, 체계화 : 크트 
- 
조직 
- 
예산 
- 
자료집 초안 참고 
- 
공유지계획 
- 
자료집 초안 참고 
- 
이월계획
- 
기타 안건
- 
차입금 반환 건 : 보라재단 4000만빈 반환 하는 것으로 결정. 
- 
조합원 이용요청 건(넥스트젠) 
- 
기타 
- 
차기회의
- 
다음 총준위 : 2월 12일, 19일 수요일 저녁 7시반 

댓글
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