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통계 서비스 기획안
-
현행 공동체통장
-
개인 출자금 통장과 동일하지만, 출자지지금이 없고, -100만빈까지 분담금이 없다.
-
공동체별로 여러개의 계정 관리 안됨.
-
구성원들이 공동체에 직접 출자한 금액에 대한 기록이 없다. 현황 파악 안됨.
-
구성원들이 빈고에 출자한 금액에 대해, 공동체 차원의 인센티브가 없다.
-
공통계 서비스 개요
-
공동체가 여러개의 계정과 구성원별 별도 계정을 갖는 신규 서비스
-
조합원 입장에서는 출자금 통장과 함께 소속 공동체의 공통계 통장을 여러 개 갖게 됨.
-
공동체 입출금 통장, 고정자산 통장, 구성원1, 구성원2 계좌 등등으로 활용 가능
-
공동체 내의 별도의 기금 모금 가능
-
구성원이 공동체에 직접 출자한 금액을 기록하고 일부 반환도 가능함.
-
공동체 자산에 대한 기록 및 파악 가능하고, 이를 구성원도 조회 가능함.
-
공동체 자산도 공유지로 파악해서 전체 공유지의 규모 추정 가능.
-
공동체별 별도의 통장 운영원칙 수립가능.
-
공동체별 별도의 화폐 단위 운영 가능.
-
공동체의 재정 관리 및 거래를 위한 토털 서비스로 진화
-
빈고 차원에서도 고정 출자, 목적 출자 등의 출자금 다변화 가능함.
-
예비조합원 계정 생성 가능
-
공통계 표준운영방안
-
공통계 활동계획을 제출한 공동체들이 이용 가능함
-
공통계 소속 공통계원 공통장의 소유권은 공통계원이 갖는다. (공동체의 반환 의무)
-
공통계 소속 자금의 운영은 공통계활동가가 운영한다. (자금 운영 위탁)
-
구성원이 공통장 출금을 원할 때는 공통계활동가의 확인 및 동의가 필요하다.
-
공통계활동가가 큰 자금을 지출, 대출하는 것은 공동체 원칙에 따른다.
-
공통계는 최소 1년에 한번씩 공통계원들에게 정산 결과를 공유한다.
-
공통계 출자금에 대한 반환, 배당, 손실 등에 대한 원칙은 공동체가 정하고 책임을 진다.
-
빈고는 재정 관리와 감사 역할 지원
-
공동체는 별도의 통장 및 장부를 운영하고 이 기록을 빈고 공통계에 반영할 수 있다.
-
빈고는 빈고 계좌로 입금된 부분에 대해서만 관리하고 보증할 수 있다.
-
빈고가 보유한 공통계 잔액은 빈고가 관리하고 반환 요청시에 바로 반환한다.
-
공통계가 필요한 자금은 마이너스통장처럼 빈고에서 이용해서 공급할 수 있다.
-
필요한 일
-
13기 장부 업그레이드
-
과거 공동체통장 자료 이전
-
공동체 홍보자료 작성
-
공동체별 공통계 관리 원칙 수립
-
실무… 많이 늘까?
-
공통계 서비스 이용 가능 공동체 사례
-
빈땅조합 : 조합원 출자금 관리
-
건강계 : 이벤트 저축 또는 챌린지
-
닐리리만보 : 각 회원별 적립금 집계
-
일본빈고 : 일본 빈고 인큐베이팅
-
공유지공동체 : 공동체 직접 출자분에 대한 기록. 유동성 확보 가능.
-
도토리회 : 타 은행
-
장부 사례
댓글
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.